주간노동뉴스 | 주간뉴스레터 7월 4주차 페이지 정보 작성자 노무법인 하랑 작성일18-07-23 11:14 조회6,028회 댓글0건 관련링크 http://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index.html 5158회 연결 이전글 다음글 목록 본문 - 고용노동부, 열사병 발생 사업장 작업중지 등 강력조치 예고- 고용부, 공공부문 비정규직 13만3000명 정규직 전환 결정- “소기업·소상공인 71.7%, 여름휴가철 체감경기 한파”- 첫 직장 월 150만원 못 받는 청년층 6.4%포인트 줄어- 정부 근로기준법에 ‘직장 괴롭힘’ 금지의무 추진- 더불어민주당 “최저임금은 죄가 없다” 방어태세- "사회보장제도 확대하고, 기형적 임금체계 개선하자"- KT 인력 퇴출프로그램 피해자 1천2명 전원 보상한다저소득층 일자리·소득지원 대책 Ⅰ. 일자리·소득분배 상황 Ⅱ. 추진방향...근로장려금 개편방안Ⅰ. 개편 필요성 Ⅱ. 세부 개편방안 1. 단독 가구 연령요건 폐지.. 퇴직으로 발생한 퇴직금청구권을 사후에 포기한 경우 퇴직금을 지급할 의무가 없다 단체협약에서 노동조합의 자주적 규약에서 정해진 조합원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노동조합의 자주성을 침해할 우려가 있다. 사회통념상 그 행사의 전반적인 과정이 사용자의 지배나 관리를 받는 상태에 있는 경우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의 업무상 재해에 해당한다. 갱신기대권이 인정됨에도 합리적인 이유 없이 계약기간만료로 고용관계를 종료시킨 것은 부당하다. 하반기 이후 경제여건 및 정책방향 Ⅰ. 상반기 경제운용평가 Ⅱ. 현황 및 향후 경제 여건... 주요국가의 최저임금제도 Ⅰ. 주요국 최저임금제도 최근 동향 Ⅱ. 국가별 최저임금제도 [토론회] 산업재해 피해자 증언대회 및 노동안전보건과제 [발제문] 1. 문송면·원진노동자 투쟁과... [토론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발제문] 1.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 실태 및... 근로장려세제(EITC)의 효과와 발전방향 1. 문제제기 2. 한국의 근로장려세제(EITC) 시 ... 미국 최저임금 현황과 인상 효과 1. 들어가며2. 미국의 최저임금 현황...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이전글 다음글 목록